atelierjun
청고벽돌집
Program : Housing
Location : Seoul, Korea
Site Area : 231.00㎡
Total Floor Area : 461.52㎡
Building Scope : 4F
Photo : Namgoong Sun
대표적인 중국인 밀집 지역인 대림동은 일부 영화에서 전체적인 설정을 위해 과장된 측면이 있긴 하지만 분명 다른 곳에서는 볼 수 없는 이 지역의 독특한 분위기가 있다.
특유의 분위기로 다방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건축재료인 청고벽돌은 중국 청나라 시대의 고벽돌로, 임차인의 대부분이 중국인이거나 교포들인 경우가 많은 이곳에 그들에게 익숙할 청고벽돌을 외장재료로 선정하는데 더 의미가 있다고 생각했다.
인접한 건물들의 노후화가 심했고, 특히 북쪽의 경우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시설이 있었기 때문에 시선을 차단하지 않을 수 없었다. 따라서 외장재료로 벽돌을 최종적으로 선정하기 전에 폴리카보네이트나 목재 루버 등 시선을 차단하면서 햇빛을 실내로 끌어들일 수 있는 재료를 고민했다. 이런 이유로 청고벽돌을 선정하고 시선 차단과 햇빛 유입을 위해 영롱쌓기를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주변 환경으로부터 시선을 차단하기 위해 1,2층 상가에 사용된 영롱쌓기는 3~5층 주거공간에도 적극적으로 적용하여 건물 전체의 낮과 밤 분위기를 완전히 다르게 연출하였다.
하지만 청고벽돌은 외관상 보기에는 좋으나 외장재료로서의 물성이 아주 불량하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시멘트와 잘 붙지 않아 영롱쌓기를 할 때 벽돌 뒤쪽으로 구조 보강이 필수적이며, 물을 잘 빨아들이는 성질로 인해 창틀 주변에 누수가 발생되기 쉽다. 따라서 창틀 주변으로 금속 프레임을 설치해 디자인적인 측면과 기능적인 측면 모두를 충족시켰다.
남쪽의 도로사선과 정북 일조 사선제한을 모두 받으므로 용적률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건물은 자연스럽게 박공 형태가 되었다. 하지만 높이제한으로 인해 박공 형태가 일부 잘려나가게 되었는데, 건물이 기울어져 있는 점을 활용해 서측면은 박공 형태를 유지시켰다.
경사면 역시 청고벽돌로 시공하여 건물 입면에 통일감을 주려 했으나, 청고벽돌의 누수 위험과 시공사의 시공 능력 부재로 인해 칼라강판으로 변경된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